한식 / 비공휴일 / 세시풍속 4.5.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동지(冬至) 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금연일(禁烟日),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도 한다. 한식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명절이 아니다.
따라서 한식은 음력 2월에 있을 수도 있고, 음력 3월에 있을 수도 있다.
그러다 보니 2월 한식과 3월 한식을 구분하는 관념이 있다.
그래서 2월에 한식이 드는 해는 세월이 좋고 따뜻하다고 여기며,
3월에 한식이 있으면 지역에 따라서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한식 [寒食] (한국세시풍속사전)
한식일(寒食日)이란?
한식일(寒食日)은 한국의 전통 명절로, 매년 4월 5일경에 해당하며,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날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붙었습니다.
한식은 주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고 성묘(성산에 올라 조상의 묘를 찾아가는 것)하는 날로 인식되어 있으며,
한국의 대표적인 제례문화 중 하나입니다.
한식의 유래
한식의 기원은 중국의 진(晉)나라 시대의 충신 '개자추(介子推)'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개자추는 군주를 충성스럽게 섬기고 공을 바라는 마음 없이 조용히 은거합니다.
군주가 그를 찾기 위해 불을 질렀으나, 결국 그 불로 개자추가 죽게 되고,
이를 애도하며 불을 사용하지 않는 날로 정한 것이 ‘한식’의 시작이라는 전설이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한식 의미
한국에서는 한식일을 양력 4월 4일 또는 5일, 즉 청명(淸明) 바로 다음 날로 정해왔으며, 성묘와 조상 숭배 의식이 중심입니다.
한식의 대표적인 풍습
성묘: 조상의 묘를 찾아가 풀을 베고 정성껏 돌봄
제사: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며 감사의 뜻을 전함
찬 음식 먹기: 예전에는 한식 전날 불을 꺼서, 이날은 찬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었음
오늘날의 한식
현대에 들어 한식은 법정 공휴일에서는 제외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청명과 함께 묘소를 찾아가는 시기로 인식합니다.
조상에 대한 예의와 효의 정신을 되새기는 날
가족과 함께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계승하는 시간
대표적인 한식일 음식
쑥떡(또는 쑥버무리)
봄철 제철 재료인 쑥을 이용해 만든 떡
쑥의 향과 효능이 한식 무렵 가장 좋다고 여겨짐
제사상에 올리거나, 성묘 길에 준비하는 간식으로 활용
찰밥
찰진 찹쌀밥에 밤, 대추, 콩 등을 넣어 만든 밥
불 없이도 미리 지어 둘 수 있어 찬 음식으로 제격
제사상에 자주 올라가는 음식
나물 반찬 (도라지나물, 고사리나물, 시금치나물 등)
불을 쓰지 않고도 데쳐 놓은 나물을 차게 먹음
봄나물을 통해 건강도 챙기고 조상께 감사 표현
전(煎)
제사 음식으로 빠질 수 없는 전도 미리 부쳐서 식혀 놓고 먹음
동태전, 육전, 녹두전 등 다양
식혜 & 수정과
소화에 좋고 찬 음식들과 잘 어울리는 전통 음료
성묘 후 가족이 함께 마시는 경우가 많음
오늘날의 한식 음식은?
요즘에는 전통적인 제사 음식 외에도,
가족끼리 성묘를 다녀온 후 봄나물 비빔밥, 쑥전, 약식 등을 즐기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과 봄철 건강을 함께 챙기는 문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알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보건의 날 4월7일 (0) | 2025.04.07 |
---|---|
식목일 4월5일 (0) | 2025.04.05 |
예비군의 날 (0) | 2025.04.03 |
4·3 희생자 추념일 (0) | 2025.04.01 |
세계 자폐인의 날 (0) | 2025.04.01 |
PPT 요청 시 꼭 읽어주세요
1.메일주소 / 2.교회이름 / 3.이름/직분 / 4.교회주소 / 5.유튜브 / 6.홈페이지